반응형

요실금 증상, 원인, 진찰 내용, 치료 약물, 영양 방법, 도움 되는 허브에 대해서 알아보자.

반응형

Q : 요실금은 어떤 질환입니까?

요실금은 방광 조절 능력이 상실 내지 떨어져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새어 나올 때 발생합니다. 주로 여성이 발생하지만, 특히 나이 든 여성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여성이 출산한 횟수가 많을수록 요실금의 위험성은 높아지고 흡연도 위험 요인 가운데 하나입니다.
요실금은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웃거나 기침하거나 재채기하거나 운동을 할 때 소변이 새어 나오는 스트레스성 요실금과 갑자기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들며, 소변을 참을 수 없어서 화장실 가는 도중에 소변이 흘러나오는 절박성 요실금이 있습니다. 어떤 여성들은 두 가지 타입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일시적인 요실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Q : 요실금 증상에는 어떤 게 있나요?

• 화장실에 갈 때까지 소변을 참을 수 없음

• 빈번하고 비정상적인 소변 충동

 

Q : 요실금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골반 근육의 증가(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여성의 위험 증가).
• 여성의 낮은 에스트로겐 수치(폐경기 중 흔함).
• 남성의 전립선 확대.
• 특정 의약품의 부작용.
• 재발성 요로감염.
• 잦은 변비.
• 과체중.
• 알츠하이머병,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등 방광에서 뇌로 가는 신경 경로를 손상하는 질병.
• 요도 괄약근이나 골반 기저근(골반 바닥을 형성하는 근육) 등 배뇨를 조절하는 기능이 저하된 경우.
• 고관절 기능 장애 및 이전에 고관절 수술.

 

Q : 요실금으로 인해 병원 방문 시 어떤 진찰을 받나요?
신체검사를 하고 다음에 대해서 질문할 것입니다.

• 과거의 전립선 문제.

• 임신 또는 자궁 절제술.

• 소변 패턴.

• 소변이 새는 경우.

• 소변을 볼 때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편함이 있는지 여부.

 

소변 검사를 통해 다음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감염.
• 요로결석.
• 당뇨병.
• 기타 근본적인 원인.

 

방광, 신장, 요도를 보기 위해 골반 초음파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 요실금 치료 약물에는 어떤 게 있나요?
요실금이 있는 사람의 80% 이상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운동과 행동요법이 가장 성공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절박성 요실금을 돕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약도 있습니다.
①톨테로딘(Tolterodine).

Detrol이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되는 Tolterodine은 잦은 배뇨나 요실금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1시간 이내에 효과가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두통, 구강 건조, 변비 및 현기증이 있습니다. 

 

②다리페나신(Darifenacin).

과민성 방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 방광의 근육을 이완시킴으로써 배뇨 조절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면, 소변 누출이나 즉시 소변을 보고 싶은 느낌, 또는 잦은 화장실 이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약물은 진경제로 알려진 약물의 종류에 속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구강 건조, 변비, 메스꺼움, 배탈, 복통, 흐린 시력, 안구 건조, 현기증 등이 있습니다.

 

③페소테로딘 푸마르산염(Fesoterodine fumarate).

페소테로딘은 활동성 방광(방광 근육이 통제할 수 없게 수축하여 빈번한 배뇨, 긴급한 배뇨 필요, 배뇨 조절 불능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토비애즈(Toviaz)가 있는데 마른 입, 건조한 눈, 변비, 현기증, 졸음, 흐려진 시야, 복통, 기침 같은 일반적인 부작용이 있습니다.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요실금 치료 방법.
①경피 경골 신경 자극(Percutaneous tibial nerve stimulation : PTNS).

과민성 방광 증상을 다루는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이며 하퇴의 경골 신경을 사용하여 방광 조절을 담당하는 신경을 자극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치료하는 동안 작고 얇은 바늘 전극이 경골 신경 근처에 삽입되고 배터리 구동 자극기에 연결됩니다. 전기 자극은 경골 신경으로 이동한 다음 방광 기능을 제어하는 ​​천골 신경으로 이동합니다.

 

②인터스팀(InterStim) 요법.

이식 가능한 장치를 사용하여 천골 신경을 자극하기 위해 가벼운 전기 펄스를 보내는 가역 요법입니다. 이러한 신경은 골반저, 요로 및 항문 괄약근, 하부 요로 및 결장의 근육을 제어합니다. 천골 신경은 척수 근처의 꼬리뼈 바로 위에 있습니다.

 

▣수술은 요실금이 있는 여성과 전립선이 커진 남성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타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카테터(Catheters).

카테터는 방광에서 소변을 배출하고 수집하기 위해 신체에 삽입되는 튜브로 요실금(소변이 새거나 소변을 볼 때 통제 할 수 없음), 소변 정체(필요할 때 방광을 비울 수 없음), 전립선 또는 생식기 수술, 다발성 경화증, 척수 손상 또는 치매와 같은 기타 의학적 상태에서도 사용합니다.

 

②콘돔 카테터(Condom catheters).

콘돔 카테터는 콘돔처럼 착용하는 외부 요도 카테터입니다. 방광에서 배출되는 소변을 모아 다리에 묶은 수집 백으로 보냅니다. 일반적으로 요실금이 있는 남성이 사용합니다.

 

③질 슬링(Vaginal slings).

질 슬링은 여성의 스트레스성 요실금에 대한 하나의 치료 옵션입니다.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심한 요실금이 있는 경우 치료하기 위해 질 슬링을 권장 할 수 있습니다.

소변을 볼 때 방광 주위의 원형 근육이 이완되어 소변을 요도로 배출합니다. 요도는 방광에서 신체 외부로 연결되는 관입니다. 질 슬링 절차에서 외과의는 합성 물질을 사용하여 요도 주위에 슬링을 만듭니다. 이렇게 하면 요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소변 누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④흡수성 패드 또는 속옷.

 

Q : 요실금에 도움이 되는 영양 방법에는 어떤 게 있나요?
①크랜베리 및 블루베리에는 박테리아가 방광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요실금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로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민성 요실금이 가진 몇몇 사람들은 크랜베리가 산성이기 때문에 방광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과 다른 약을 먹는 사람은 크랜베리 보충제를 다량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②카페인, 알코올, 인공 감미료 및 담배를 피해야 합니다.

 

③여과된 물을 매일 6~8잔씩 마십니다.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충분한 물을 마시지 않으면 방광이 자극을 받아 요실금을 더 악화할 수 있습니다.

 

④감귤류, 토마토, 매운 음식, 카페인, 탄산음료 등 일부 식품은 절박성 요실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한 개 연구에서, 연구원들은 매일 커피 2잔(250mg)의 카페인 섭취가 남성의 중증 요실금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⑤매일 최소 30분, 일주일에 5일 동안 운동을 합니다.

 

⑥한 개의 연구에서는 콘드로이틴 황산(chondroitin sulfate)이 약물 디트롤(Detrol)뿐만 아니라 절박성 요실금 및 과민성 방광의 증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의할 점으로는 조개류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천식이 있는 경우 콘드로이틴 황산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콘드로이틴 황산은 와파린(warfarin)이나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과 같은 혈액 희석제를 복용하는 경우 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임산부나 모유 수유 중인 여성도 콘드로이틴 황산을 먹지 말아야 합니다.

 

Q : 요실금에 도움이 되는 허브에는 어떤 게 있나요?
한 실험실 연구에서는 세인트 존스워트(St. John 's wort)가 요실금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임상 연구가 되지 않았습니다.

세인트 존스 워트는 많은 약물을 방해 할 수 있기 때문에 피임약을 포함한 처방 약을 복용 중인 경우 세인트 존스워트를 복용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세인트 존스워트는 기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으로 정신 질환 병력이 있는 사람과 임신을 시도하고 있거나 간 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도 먹지 말아야 합니다.

 

Q : 요실금 환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

임신 중이라면 약을 먹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남성의 경우 정기적인 전립선 검사를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상태가 악화하면 환자는 우울증, 재발성 요로 감염 및 사회적 고립으로 고통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스트레스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은 성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관련글

 

 

월경 전 증후군 증상, 원인, 치료 약물, 영양 방법, 보충제 및 허브에 대해서 알아보자.

Q : 월경 전 증후군은 무슨 질병인가요? 월경 전 증후군을 영어로 premenstrual syndrome이라고 하며 보통 약자로 PMS라고도 불립니다. 월경 전 증후군을 앓고 있는 여성들은 생리 전 2일에서 14일 전까지

lifecenter.tistory.com

 

 

생리통 증상, 원인, 복용 약물, 영양 방법, 완화시키는 보충제와 허브에 대해서 알아보자

Q : 생리통은 어떤 질병인가요? 생리통은 생리 주기마다 반복되는 통증을 말하며 가임이 여성의 50%에서 나타나는 매우 흔한 증상입니다. 많은 여성은 특히 10대일 때 생리 때문에 고통을 겪습니

lifecenter.tistory.com

 

 

자궁내막증 증상, 원인, 진찰내용, 처방약물, 완화를 돕는 보충제 및 허브에 대해서 알아보자.

Q : 자궁내막증은 어떤 질환입니까?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을 구성하는 세포인 자궁 내막 세포가 자궁 밖의 복강 내에 존재하는 질환입니다. 이 세포들은 더 이상 자궁 내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lifecenter.tistory.com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